읽기마당 > 부모/교사 독서지도 > 독서지도기초

부모/교사 독서지도

제목 3) 독서 후의 활동


독서 후 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중요한 생각에 대해 깊이 있게 사고하게 하거나, 반응을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활동이다. 또한 이해를 더욱 깊게 하기 위해서 읽고 있는 책으로 되돌아가도록 하기도 하며, 그들이 방금 읽은 것과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관련짓게 하거나, 개인적으로 의미 있게 배운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독서 후 학습 활동으로는 독후 활동, 그룹 토의 혹은 전체 토의 활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글을 읽은 후의 독후 활동이나 사후질문들은 단순히 글을 읽고 마는 경우보다 더 많은 학습이 일어나게 한다. 이러한 학습 효과는 독후 활동이 읽은 글에 대한 의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또 토의 학습은 학습자의 적극적인 사고, 학습에의 능동적 참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1. 독서 후 활동의 목적

1) 생각들을 분석하고 종합하게 한다.
2) 책 속에 있는 생각, 화제, 문제들에 대해 개인적 반응을 촉진하고, 서로 관련짓게 한다.
3) 읽고 있는 글의 의미를 넘어서는 이해를 하게 한다.
4) 정보를 잘 조직하게 한다.


2. 독서 후 활동의 종류

1) 질문 만들기 : 학생들에게 읽은 글에 대하여 5,6가지의 질문을 스스로 만들어 보고, 또 여기에 답하게 한다. 한 학생이 만든 질문을 다른 학생의 독해 정도를 검사해 보는 도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질문이 그 글에 적합한 질문인지 다 함께 논의한다. 학생들의 질문을 글에 명시된 내응을 묻는 사실적 질문, 글의 내응을 해석해야 답할 수 있는 해석적 질문 그리고 글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다른 사태에 적용을 요하는 적용적 질문 등으로 유형화해 본다.

2) 중심 내용 찾기 : 학생들에게 읽은 부분의 중심 내용을 정리하게하고, 왜 그렇게 하였는지 그 이유나 근거를 찾게 한다. 중심 내용은 글에 명시되어 있을 수도 있고(많은 경우 첫 문장이나 마지막 부분에), 글에 명시되어 있지 않아 학생들이 스스로 만들어 내야 하는 경우도 있다.

3) 요약하기 : 글을 읽지 않은 다른 사람에게 글의 내용을 간단히 소개할 수 있도록 요약하게 한다. 이야기의 경우는 줄거리 중심으로 요약할 수도 있고, 설명문의 경우는 내용을 재구성하여 요약할 수도 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요약문에는 독자의 개인적인 반응(의견, 평가, 비판 등)이 포함되지 않도록 유의시킨다.

4) 개인적인 반응 이야기하기 : 글을 읽고 난 후 그 글 내용에 대한 의견, 비판 그리고 글 내용으로부터 더욱 확산된 개인적인 감상이나 상상을 발표하게 한다. 글 내용에 집약되는 반응보다는 보다 발산적이고 창의적인 반응을 조장하는 것이 좋다.

5) 독서 후에 할 수 있는 독서표현 활동
(1) 대립 척도표 : 여러 등장 인물의 다양한 측면을 질문하여, 등장 인물을 분석하고 종합함으로써 비판적 사고를 촉진시킨다.
(2) 인물 분석 카드 : 인물과 그들의 특성을 이야기하고, 토론하고자 하는 동기를 유발시킨다.
(3) 플롯 조직표 : 이야기의 구성을 조직하고, 분석하는 도해적 수단을 제공한다.
(4) 벤다이어그램(비교하기) : 학생들에게 한 책의 이야기 구성요소를 비교하고 대조하거나 두 권 이상의 책을 비교하거나 대조하기, 주제나 내용이 비슷한 작품 비교, 인물의 성격이나 행동양식을 비교, 같은 소재로 주제가 다른 작품 비교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된다.
(5) 책 개요표 : 책들을 비교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인물의 경험, 주제, 구성, 작가전략 등을 비교 검토할 수 있게 한다.
(6) 테이블 대화 : 학생들이 작품 인물에 대해 반추하고 관련 작품을 탐색하도록 도와주는 활동이다.
(7) 세계 문화망 : 세계 여러 문화의 다양함을 책 속에서 알아내고 발견한 정보들을 조직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8) 토론하기: 책을 읽으면서 문학지도에 적은 것이나, 적용적 질문 가운데 비판적인 성격을 띤 것을 택하여 사용한다.
(9) 창작 활동 : 읽은 책을 바탕으로 창의력을 발휘해 쓰는 활동으로 결말 또는 내용 바꿔쓰기. 뒷이야기 이어쓰기, 다른 장르로 바꿔 쓰기((시→이야기, 이야기→시, 희극, 만화 등), 이야기를 직접 만들어 보기 등이 있다. 학생들은 이와 같은 창작활동을 통해 작품 이해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
(10) 질문 만들기 : 내용의 심화, 이해 및 적용과 관련된 질문 만들기(교사 또는 아동)
(11) 편지쓰기 : 읽은 책을 다른 사람에게 소개하는 글쓰기, 이야기의 주인공(또는 등장 인물)에게 편지 쓰기 등이 있다.
(12) 퍼즐이나 게임, 퀴즈 만들기 : 읽은 내용과 관련하여 독서퀴즈, 숨은 그림 찾기, 도서퍼즐 만들기를 함으로써 책의 내용을 깊게 이해할 수 있다.
(13) 독서신문 만들기 : 읽은 책에 대한 종합 이해력을 키울 수 있다.
(14) 드라마, 역할 놀이 : 이야기의 내용을 간단히 무언극이나 드라마, 역할 놀이 형태로 꾸며 보는 활동을 통해 창의력을 키울 수 있다.
(15) 미술활동 : 이야기에서 어떤 장면이나 내용을 그림이나 콜라쥬, 찰흙 모형으로 나타냄으로써 독서흥미를 고취시킬 수 있다.
(16) 구연(storytelling) : 읽는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형식으로 실감나게 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