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마당 > 어린이 갈래별 글쓰기 > 생활문/편지글

어린이 갈래별 글쓰기

제목 생활문이란 무엇일까요


초등학교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생활문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자세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생활문이란 글감을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얻어 쓴 글이다. 둘째, 생활문에는 아동의 중심 생각과 느낌, 정서가 담겨 있는 글이다. 셋째, 생활문은 생활 경험을 구체적으로 자세히 표현한 글이다. , 생활문은 생각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대화문을 섞어 쓸 수도 있다. 다섯째, 생활문은 나를 중심으로 쓰여진 글이다.”


이를 종합하면 생활문은 아동이 일상생활에서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고 경험한 일을 구체적으로 솔직하게 쓰는 글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생활문은 일기와 다른 점이 없어 보이지요. 생활문이 일기와 다른 점이 있다면 일기는 날짜를 꼭 써야하지만 생활문은 그럴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차이점은 일기는 자신만이 읽기 때문에 기록위주로 쓸 수 있지만 생활문은 독자를 의식해 이야기 형식으로 써야한다는 점입니다. 이야기 형식이 되기 위해서는 줄거리를 짜임새 있게 구성해야 한답니다. , 소설이나 동화의 구성에 해당하는 발달-전개-절정-결말의 구성을 갖추는 것이 효과적이지요.


글쓰기 학습의 측면에서 볼 때, 생활문 쓰기는 모든 글쓰기 학습의 기초가 된답니다. 생활문을 잘 쓰기 위해서는 느낌과 감동과 같은 정서적인 요소는 물론 구체적인 관찰력과 치밀한 구성능력, 그리고 관계적 해석능력과 의미의 발견과 부여까지, 모든 장르의 글쓰기에서 요구되는 사고요소를 다 포함하고 있습니다. 생활문의 느낌과 감동은 동시적 요소가 되고, 생활문을 이야기로 구성하면 동화가 되겠지요. 일기는 생활문의 내용을 하루의 것으로 한정한 것이며, 수필은 아이들이 쓰는 생활문과 다른 점이 없다고 보아야 합니다. 따라서 생활문을 잘 쓸 수 있으면 모든 글쓰기를 잘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갖추게 되는 셈입니다.


생활문이란 우리가 생활하는 가운데 듣고, 보고, 겪은 여러 가지 일 중에서 특히 마음을 끄는 어떤 일을 소재로 쓴 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루 생활 속에서 많은 일을 경험하게 됩니다. 생활이 곧 경험의 연속이기 때문이지요. 다시 말해 생활 속의 이야기, 즉 생활 체험을 실감나게 적은 글입니다. 예를 들어 점심시간에 친구와 매점에 갔다거나 수업시간에 발표를 하였다’, ‘.주말에 친구와 놀았다’, 학교 오가는 길에서 동전을 주었다등과 같이 여러 경험 중에서 어떤 것이라도 들은 대로, 본 대로, 느낀 대로 쓰면 다 생활문이 됩니다.


생활문은 어려운 것도 아니고, 남다른 신기한 내용만이 좋은 생활문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생활문의 글들은 우선 자신의 생활을 있는 그대로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 하듯 쓰는 것이면 충분합니다. 대부분의 글이 그렇지만 생활문은 특히 꾸며서 쓰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본대로, 느낀 대로, 들은 대로, 자기 생각을 정직하게 쓰는 것이 좋은 글쓰기 태도입니다. 다시 말하면 어떤 글감을 택하여 쓰느냐가 중요합니다. 잡지 <새소년>글짓기 동사에 실렸던 글을 읽어 보세요.



<내동생> 6학년 이현미

어느 날 아침, 엄마께서는 동생에게 시각을 물으셨다. 동생은 시계를 보고 우물쭈물 서 있었다. 경화가 시계를 볼 줄 모르는구나. 현미가 학교 다녀와서 좀 가르쳐 주라.” 하고 말씀하셨다. 말씀은 들었지만 동생에게 가르쳐 주기가 싫었다. 그것은 무엇을 가르쳐 주면 줄수록 엉뚱한 대답을 하기 때문이다. 내 친구 동생은 1학년인데도 시계를 볼 줄 안다고 하였다. 그래서 나는 동생이 머리가 나쁘다고 생각하였다. 그렇지만, 할 수 없이 학교가 끝나고 나서 집에 와 도화지에 크게 그리고 시계보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 하지만 동생은 찰 모르는 것이었다. 내가 생각해도 너무 어렵게 가르친 것 같았다. 나는 엄마에게 경화가 머리가 나쁘다고 핑계를 댔다. 그러나 엄마는 다시 잘 가르쳐 주라고 하셨다.


난 동생과 잘 다툰다. 하지만, 동생이 꿈나라에 간 얼굴을 보면 천사의 얼굴 같다. 그 다음 날부터 나는 다시 잘 가르쳐 주었다. 이렇게 며칠을 조금씩 이해가 가게 가르쳐 주었더니, 아주 잘 알았다. 이제는 경화야, 지금 몇 시니?” 하고 물으면 “715하고 자랑스럽게 대답한다. 동생은 머리가 나쁘지 않았다. 내가 잘못 한 것이다. 이제 동생을 잘 보살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