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마당 > 부모/교사 독서지도 > 독서지도기초

부모/교사 독서지도

제목 4. 정교화 과정


정교화는 필자가 의도하지 않는 내용에 대해서도 추론하는 것으로 미시과정, 통합과정, 거시과정에는 반드시 필요한 추론은 아니다.
능숙한 독자는 필자가 의도한 의미를 뛰어넘어 스스로 의미를 부여한다. 글 내용에 관련되는 심적 영상을 형성하고, 다음에는 어떤 내용이 올 것인가를 예측하기도 한다. 또한 새로운 정보를 이미 알고 있는 정보에 통합한다. 이뿐만 아니라 능숙한 독자는 비판적이고 창조적으로 글을 읽는다. 자신이 읽은 글을 분석하고 평가하고 종합하고 적용한다. 독자는 이러한 개인적인 정교화를 통하여 글의 내용을 기억할 수 있게 된다.


1. 예측하기
예측은 ‘다음에 무엇이 일어날 지에 관한 가정’으로 정의된다. 능숙한 독자들은 읽고 있는 문단의 다음에 무엇이 올 것인가에 관하여 끊임없이 가설을 설정한다. 이러한 일은 다음에 올 단어나 다음에 일어나게 될 사건 혹은, 이어지게 될 다음 문단 전체의 내용을 예측하는 것이 포함된다. 다른 많은 이해의 기능들처럼, 이것은 독자가 현재 읽고 있는 것의 내용과 구조에 대한 배경지식을 요구한다. 또 독자가 능동적으로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기를 요구한다.


2. 배경지식(사전지식) 활용하기
배경지식 활용하기는 읽고 있는 문장의 정보와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연결하여 추론하는 것을 말한다. 독자가 글의 내용을 이해한다는 것은 글에 제시되어 있는 새로운 정보를 이미 알고 있는 정보에 결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능숙한 독자는 적극적으로 그들이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해 생각하고 그것을 이미 알고 있거나 경험했던 것과 연결시킨다.


3. 심상 형성하기
심상 형상하기는 시각, 청각, 촉각, 그리고 근육 감각을 포함한 감각적 경험을 심리적 영상으로 형상화 하는 것을 말한다. 글을 읽을 때 글의 내용과 관련된 심상을 형성하는 것은 독자의 이해와 기억하는 양을 증가시킨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글보다는 그림을 통해서 쉽게 배우는 학습자에게는 읽는 도중에 영상을 만들어 가르치는 것이 이해력을 증가시키며, 능숙한 독자보다 미숙한 독자가 심상지도에 의해 더 도움을 받는다. 학생들은 이미지와 관련된 적합한 사전 경험을 가졌을 때에만 적절하게 상상할 수 있다. 만약 이 활동에 문제가 있다고 여겨진다면, 읽는 부분과 관련된 것과 유사한 환경이나 이미지를 가진 그림이나 사진, 비디오테이프 등을 가져오게 한다. 만약 필요하다면 학생들에게 실제적으로 글을 읽기 전에 몇 가지 중요한 장면을 마음 속 그림으로 묘사하도록 한다. 쓰고 그리는 활동을 통해 상상하기가 조장될 수 있다.


4. 정서적으로 반응하기
정서적인 반응, 특히 필자에 의해 의도되어진 반응은 독해과정의 일부분이며 주로 문학 작품을 읽을 때 나타난다. 이야기, 소설, 시와 연극에서의 정서적인 반응은 독해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기능적 독서를 가정하는 독자는 독서가 끝난 후에 남아 있을 문제해결, 진행된 과정 등과 같은 어떤 내용을 얻는 데 초점을 두게 된다. 반면 심미적 독서를 가정하는 독자는 자신이 읽은 글과 관련하여 그가 살고 있는 현실에 대해 직접적으로 집중하게 된다. 심미적인 독서는 경험 그 자체에 강조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심미적인 독자는 이야기의 상황, 장면을 경험하고 향유한다. 그리고 정서를 환기시키고, 미해결 된 결과와 긴장, 갈등에 기꺼이 참여한다. 이런 이유로 심미적인 독서는 정서적 반응을 포함하고 사람을 평생 독자가 되도록 동기화 하는 것이다. 정서적인 반응에는 줄거리나 주제에 관한 정서적인 반응 , 등장인물과 동일시하기, 작가의 언어 사용에 대한 반응, 심리 치료적 반응(독서요법) 등이 있다.


5. 고등사고 반응
독자는 글을 읽을 때, 종종 많은 유형의 ‘고등’ 사고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예를들어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여 정보를 변환하기, 필자가 사용한 추론 분석하기, 아이디어를 창조적인 아이디어 또는 창조물로 통합하기 및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해 판단하기 등이
고등사고 반응에 해당된다. 이러한 과정은 적용, 분석, 종합, 평가 등이다.


1) 적용은 새로운 상황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2) 분석은 자료의 신뢰성 판단하기와 사실과 의견 구분. 광고기법 분석하기, 현실과 허구 구분하기, 논리의 오류 발견하기, 감정에 치우친 낱말 인식하는 등의 과정으로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다.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분석하며 읽을 수 있을 때, 독자는 더 적극적이 되고, 효과적인 독해로 이끄는 다른 능동적인 과정을 사용한다.
3) 종합은 새로운 생각이라고 할만한 새로운 지식을 제안하기 위하여 여러 정보를 결합하는 것으로 창조적 사고과정이다. 학생이 다양한 반응을 존중하는 분위기에서 촉진되며, 이야기 다시쓰기, 역사적인 인물의 삶을 하루의 허구적인 묘사로 쓰기, 정치적 문제에 대한 글을 읽은 후에 법이 바뀐다면 어떻게 될지, 정치적 문제에 대한 글을 읽은 후에 정치활동들 계획해 보는 것과 같은 활동을 할 수 있다.
4) 평가는 글 내용을 어떤 기준에 따라 판단하는 것으로 평가를 위해서는 우선 평가기준을 결정해야 한다. 정보독서, 평가 기준 만들기, 어려운 평가 결정하기 활동 등이 있다. 정교화 지도를 위하여 세 가지 사항이 고려되어야 하며 첫째, 교사들은 정교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정답은 하나이다’라는 정답관을 버려야 하고, 둘째 정교화 과정은 미시과정, 통합과정, 거시과정을 완전히 습득한 학생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며 상호 촉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