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마당 > 부모/교사 글쓰기지도 > 글쓰기지도기초

부모/교사 글쓰기지도

제목 2. 사회적 관점을 반영한 문제해결 모형


사회적 관점을 반영한 문제 해결 모형은 Hayes(2000)가 초기의 인지적 쓰기 과정 모형을 수정한 것으로 사회적 관점을 상당히 수용하여 제안한 것이다. 여전히 인지적 관점을 토대로 하고 있어 전적으로 사회적 관점에서 쓰기 현상을 파악한 것으로는 볼 수 없다. 하지만 쓰기과정과 관련되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고, 과정 중심 쓰기 교육 이론을 더욱 풍성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모형은 크게 두 측면으로 나누어져 있다. 과제 환경과 개인이다. 과제 환경은 크게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으로 나누어지는데, 사회적 환경으로는 독자(청중)와 협력자가 포함되며, 물리적 환경에는 필자가 글을 써 나가는 과정에서 이전까지 생성한 글과 워드프로세서나 인터넷과 같은 매체가 포함된다. 이들은 글쓰기 과정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리고 개인적 요소로는 동기 또는 정의적 면과 인지 과정, 작업기억(단기 기억), 장기 기억 등의 요인이 있다.


그리고 인지 과정은 크게 해석하기와 숙고하기, 산출하기로 나누고 있다. 여기에서 텍스트 해석하기는 읽기나 듣기 등을 통해 의미를 내적으로 표상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초고를 수정하기 위해 읽는 활동은 여기에서 말하는 해석하기에 포함된다. 초고를 읽으면서 내적으로 표상하는 활동이 있는데, 이 활동이 곧 해석하기 활동이다. 이런 의미에서 해석하기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수정하기와 관련이 많다. 숙고하기는 외적인 표상을 산출하기 위해 내적으로 표상하는 활동으로 해석한 것을 실제로 나타내기 위해 문제 해결 행위나 의사 결정 행위, 또는 추론 행위 등을 하는 것을 말한다. 산출하기는 여러 과제 상황을 고려하면서 실제로 글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물론 이 세 과정은 순차적인 것이 아니라 동시적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화살표로 표시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초기의 쓰기 과정 모형과 대비해 볼 때, 종래의 쓰기 과정 모형에서 수정하기는 텍스트 해석하기로 대치했고, 종래의 계획하기는 좀더 포괄적인 의미를 지닌 숙고하기 속에 포함시켰다. 그리고 종래의 작성하기는 좀더 포괄적인 의미를 지닌 텍스트 산출하기 속에 포함시키고 있다. 개인적 요소 측면에서만 보면 이 모형은 초기의 쓰기 과정과는 다음 네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Hayes,2000).


- 첫째, 쓰기 과정에서 작업 기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둘째 언어적인 표상뿐만 아니라 시각적, 공간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시각적, 공간적 요소라 함은 과학 잡지나 교과서, 일반 잡지, 신문 등에서 내용을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그래프나 도표, 그림 등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들과 관련된 요소를 말한다.
- 셋째 동기와 정의적인 요소를 중요하게 취급하였다.
- 넷째 인지 과정에 포함된 요소를 새롭게 정리했다는 점이다.


이 이외에 전체적으로 보면 이 모형에서는 글쓰기 과정에서의 필자 외적 요소를 매우 중요하게 취급한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환경이라 하여 독자와 협력자(교사나 동료, 학부모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글을 써 나가는 동안에 필자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사람) 요인을 포함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그리고 초기의 쓰기 과정 모형에 비해 장기 기억과 관련된 요소도 좀더 자세히 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이 모형은 인지적 관점을 중심으로 하면서 사회적 관점을 수용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이재승,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