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마당 > 부모/교사 독서치료 > 독서치료이론

부모/교사 독서치료

제목 2. 심리학과 교육학


독서치료과정은 위의 정의에 이용된 이론 외에도 다양한 학문의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다. 각 이론은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공통점을 지니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립적으로 독서치료의 원리로 작용하기도 한다.


심리학 분야에서 인간중심의 상담을 주장하는 Rogers(1942)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담과정에서 작용하는 중심적인 개념으로 허심탄회한 분위기와 내담자의 통찰을 들고 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에 대한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며, 내담자가 표현하는 긍정적인 감정은 물론 부정적인 감정과 사고까지도 수용하고 인정하는 과정에서 내담자는 자신의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이 똑같이 인격의 일부로 수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 현재의 자신의 문제에 대한 통찰과 이해가 생기게 된다. 독서치료에서 독자(내담자 및 환자)와 독서자료와의 관계는 누구도 지시하거나 관여하지 않는 자유로운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독자는 부정적인 자아개념이든 어느 한쪽으로 반응할 수 있으며, 또한 독자와 독서자료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독자가 책의 주인공이나 등장인물 혹은 책 내용의 자극이나 상황에서 독자자신과 문제 및 원인을 표현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결국 통찰이 일어나 내담자나 환자의 문제해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Zacca- ria & Moses, 1968).

교육학에서의 인지학습과 자기학습도 독서치료의 원리가 된다. Koffka는 학습을 행동의 변용이라고 하였으며 변용의 과정으로는 학습자에게 특정한 과정이 생기며 이 과정이 흔적으로 남게 되고 흔적은 뒤의 과정에 효과를 미친다고 한다. 즉, 학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독서치료에서 Koffka의 학습이론이 가능한 것은 독자와 독서자료와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과정에서 독자가 책 내용에서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획득하여 그 획득된 지식과 정보가 독자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Hintzman, 1978).

Lewin은 場(field) 또는 생활공간(life space)이란 개념으로 학습을 설명하고 있는데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환경은 개인을 적극적으로 접근케 하는 유의성과 소극적으로 회피하게 하는 유의성을 가진 것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과 인간의 제조건 즉, 요구, 흥미, 능력, 희망 등과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행동이 규정되는데 이러한 관계사태를 場이라 부르며 또한 개인의 행동을 규정하는 개체적 제조건과 환경적 제조건과의 총체를 생활공간이라고 칭하였다. 학습은 場 또한 생활공간에 대한 인지구조의 변화하고 학습이 된 상태를 구조화라고 한다. 이러한 구조화는 학술이나 서적에 의한 풍부한 지식을 통하여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場 또한 생활공간에 대하여 구조화가 되었다는 것은 문제해결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독서치료에서도 Lewin의 학습이론이 가능한 것은 독자와 독서자료와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과정에서 책 내용의 풍부한 지식과 정보 등이 내담자나 환자에게 미구조화 상태였던 자신의 문제나 원인, 환경에 대해서 구조화시켜줌으로써 자신의 문제해결과 행동변화를 가능하게 한다(Zaccaria & Moses, 1968). 또한 Bundura에 의하면 인간의 학습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 또는 대리 학습함으로서 이루어진다고 한다. 타인의 행동이란 실제 인물(model)와 상징적 인물(model)을 말하며 문학작품, 소설 등의 주인공 또는 등장인물이 포함된다고 하였다. 독서치료에서도 이와 같은 관찰학습과 대리학습이 일어난다고 한다. 즉, 독자와 책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책 속의 주인공이나 등장인물들에 대해서 관찰 또는 대리경험을 통하여 독자의 행동을 수정 또는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졌다고 보았다(Russell & Shrodes(1950).

윤달원(1987), 독서요법 연구에 관한 개관 : 사례연구 및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경상대논문집(사회계편)